Generic이란?
- 데이터 형식에 의존하지 않고, 하나의 값이 여러 다른 데이터 타입들을 가질 수 있는 기술에 중점을 두어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래밍 방식
- 파라미터 타입이나 리턴 타입에 대한 정의를 외부로 미룬다.
- 타입에 대해 유연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.
- 타입 캐스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성능상으로도 이점을 얻을 수 있다.
- 런타임 환경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컴파일 시점의 전처리 기술이다.
Generic의 특징
- 클래스 혹은 메소드에 선언 할 수 있다.
- 동시에 여러 타입을 선언할 수 있다.
- 와일드카드<?>를 이용하여 타입에 대하여 유연한 처리를 가능케 한다.
- 제네릭 선언 및 정의서에 타입의 상속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.
출처
반응형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렬화(Serialization)와 역직렬화(Deserialization) (0) | 2022.04.18 |
---|---|
call by value vs call by reference (0) | 2022.04.17 |
상속(extends) vs 구현(implements) (0) | 2022.04.17 |
Interface vs Abstract Class (0) | 2022.04.17 |
객체지향(OOP)의 특징 (0) | 2022.04.17 |